Learn Together. Rich Together.
같이 공부 합시다. 같이 부자 됩시다.
안녕하세요~ 엘티알티의 해리포터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바로!
전세계 애널리스트들이 가장 많이 보는 지표 2가지 - 1편 -입니다.
먼저 저에 대한 이야기를 간단히 하자면, 짧은 기간 내에 초집중해서 공부하여 수백 권의 책을 읽고, 수많은 인터넷 강의을 수강했습니다.
그리고 핵심적으로! 존경하는 체슬리투자자문의 박세익 대표이사전무님 밑에서 약 3달간 공부해온 바, 지금 현재 가지고 있는 자산의 80% 이상은 금융자산에 투자하고 있으며 저만의 투자철학을 철저히 지켜나가는 것 중에 핵심이 되는 지표가 바로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 중 하나입니다.
그리고 소개해드리기에 앞서, 아래의 2가지 내용을 투자세계에 접목시켜봤으면 좋겠습니다.
When in Rome, do as the Romans do.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 - 로마 속담
Think Like a Monk. (수도자처럼 생각하라) - 전 승려, 제이 셰티의 저서 이름
로마에 가면 로마 법에 따르라는 말이 있고,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수도자처럼 생각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주식투자를 해서 경제적 자유,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상위 0.1%의 사람들이 일하고 있는 Wall Street, 월가 사람들처럼 생각하고, 그들의 지혜를 얻어서 투자를 하면 된다고 확신합니다.
네 가지 단어로 요약하면 다음 문장처럼 되겠죠?
Think Like Financial Analyst. 투자 전문가, 금융권 애널리스트처럼 생각하라.
복리의 마법을 통해 장기투자를 하고자 하는 여러분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이 기업에 투자했을 때 연평균 수익률을 얼마만큼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입니다.
그리고 이 생각은 전세계 모든투자자들의 최우선적 고민이 될 것이며, 주가수익률에 근접하게 움직이는 지표들이 곧 전세계 애널리스트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든 기업들에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세부적인 조정과 판단은 개인의 몫입니다.
그러면 Wall Street 사람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지표 1위는 무엇일까요?
그 지표는 바로 이것입니다.
EPS, Earnings Per Share(주당 순이익)
그리고 조금 더 깊게 들어가볼까요?
현 시점의 주가 = EPS X PER
주가는 곧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실적)에 멀티플(대중의 심리)이 곱해져서 증권시장에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PER(Price to 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은 언제든지 오르고 내릴수가 있는데요.
이에 대해서 월가의 영웅 피터린치는 다음과 같은 말을 했습니다.
공정하게 평가된 회사의 주가 수익 비율(PER)은, 회사의 성장률과 같다.
- 피터 린치, '월가의 영웅' 中 -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성장성이 장기적으로 꾸준히 지속된다는 것은, EPS 성장률이 꾸준히 지속된다는 말과 같습니다.
그리고 EPS 성장률이 곧 여러분들이 기대하는 연평균 성장률이 되겠으며, 핵심은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지를 체크하는 것입니다.
그럼 실제로, 여러분들이 투자를 할 때에는 어떻게 사용을 하면 될까요?
장기적으로 큰 돈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 속에서
꾸준히 EPS 성장률이 높게 유지가 되는 기업에 투자하면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EPS에 더해서, 전세계 애널리스트들이 2번째로 많이 보는 지표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이 지표 또한 장기적 관점으로 보았을 때 주가수익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데요.
그 내용은 2탄에서 뵙겠습니다.
주식의 가치, 가격 상승 및 가격 하락에 대해서는 어떠한 내용도 확정적인 것이 없으며, 개인투자자의 사견이며 투자의 책임은 여러분들에게 있음을 절대 잊지 마세요. 스스로가 확신을 가지지 못한 기업은 언젠가 다시 팔게 될 것입니다.
Learn Together. Rich Together.
같이 공부 합시다. 같이 부자 됩시다.
엘티알티의 해리포터였습니다★

'2. 잃지않는 실전투자법 > (1) 잊지 말아야할 핵심 투자 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에 관련된 직업을 가지고 싶다면, ABLE이라는 책을 통해 여러분의 가능성을 체크해보세요. (PER과 T.M.I.) (0) | 2022.07.22 |
---|---|
전세계 애널리스트들이 가장 많이 보는 투자지표 2가지 (2편) (0) | 2022.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