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분들께서 같이 봤으면 하는 유튜브 영상과 함께 저번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주식투자 기업선정에 있어 제가 중요하게 보는 투자지표 3가지를 먼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제가 존경하는 대표님 분들중 하나인 더퍼블릭자산운용의 김현준 대표님 라이브 영상인데요.
핵심 내용들만 보고자 한다면, 떡밥회수(?)로 되어있는 타임라인부터 유튜브 시청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위 2개의 영상을 먼저 꼭 보시고 글을 읽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위 영상들을 보셨다는 전제하에, 제가 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투자지표는 다음 3개 입니다.
1. EPS Growth(주당순이익 증가율)
2. ROE or ROIC(자기자본이익률 또는 투하자본이익률)
3. PER(주가수익비율)
제 주변에 국한된 이야기일수도 있지만, 주식투자를 일정기간 이상 하신 분들 중에서도 위 3가지 지표에 대해 명확한 자신만의 기준이 없이 순전히 감으로 투자를 이어나가시는 분이 정말 많았습니다.
그리고 위 지표들이 투자 기업 선정과 투자 집행에 있어 매우매우 중요한 것들임에도 불구하고 모르시는 분들도 많이 봤습니다. (물론 다른 지표들을 사용하는 퀀트/차트/알고리즘 투자자분들이 아닌, 본인이 가치투자나 성장주투자를 하고 있다..는 분들 중 공부없이 애매하게 투자를 하고 있는 분들에 국한된 이야기이니, 필터링해서 들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제가 지향하는 투자방법은,
'지금도 돈을 꽤 잘벌고 있고 앞으로도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을 싸게 사서 비싸게 팔겠다'입니다.
위 내용을 기본 베이스로 하여 앞으로도 설명을 이어나갈 것이며, 위 3가지 지표부터 집중적으로 공부해보시고 다른 지표들, 그리고 재무/회계적인 내용들을 하나하나 공부해보시면 투자에 그래도 흥미를 가지면서 공부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먼저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EPS Growth, ROE/ROIC, 그리고 PER이 무엇인지, 그리고 왜 이것들이 투자기업 선정 및 투자집행 과정에서 중요한지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EPS Growth (주당 순이익 성장률)
- EPS는 'Earnings Per Share'의 약자로 '한 주식당 순이익'을 말하며, 'Growth'는 성장률로 보통 YoY(Year of Year), 작년 대비 얼마만큼의 비율로 성장했는지를 말합니다. 우리가 기업에 투자를 해서 돈을 벌고자한다면, 그 기업은 앞으로도 더 많은 이익을 내서 돈을 벌 수 있는 기업이어야 할 것입니다.
- 단순히 매출액만 성장한다고 해서, 앞으로도 돈을 잘 벌 것으로 예측되는 산업에 속해있는 기업이라 하더라도 그 기업에 돈이 쌓이는지는 다른 문제입니다. 기업은 영리단체이기 때문에 이익을 내야 영속(기업을 계속 유지)할 수 있고, 투자에 있어서 그 척도는 일반적으로 순이익(Net Income)으로 고려되고 벌어들익 연간 순이익을 유통주식수로 나눈 것이 바로 주당순이익(EPS)입니다.
- 여기서 언급할 3번째 항목인 PER과 곱하게 되면 주가가 됩니다. (EPS X PER = 현재의 주가) 그렇기 때문에 애널리스트들은 현 시점으로부터 앞으로 벌어들일 이익을 예측하고, 얼마만큼의 PER 수치를 예상하여 목표주가를 산정하여 레포트를 작성하게 되는데요. 미리 말씀드리면 처음 공부할 때 레포트에서는 EPS와 PER을 집중적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2. ROE/ROIC (자기자본이익률 or 투하자본이익률)
- 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1년간 벌어들인 순이익을 기업의 자본으로 나눈 값,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부르며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지에 관한 지표입니다. ROIC는 'Return on Invested Capital'의 약자로 투하자본이익률이라 부르며 영업이익에서 실효세율을 제한 값에서 투하자본(Invested Capital)을 나눈 값입니다. 기업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ROIC랑 ROE랑 비슷한 느낌의 투자지표로 바라보면 되기 때문에 보다 직관적이고 쉽게 계산가능한 ROE부터 공부하면 되겠습니다.
- 워런 버핏이 좋아하는 지표로 알려져 있는 ROE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높은 수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면 그만큼 돈을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더 잘 벌고 있다는 뜻이고, 이는 순이익의 증가와 같은 결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미국 시장의 경우 부채를 많이 가져감과 동시에 자본잠식까지 해서라도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환원하거나 재투자를하기 때문에 이익을 내는 기업의 경우 ROE가 굉장히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대한민국의 경우 여전히 보수적인 투자집행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국기업은 ROE가 10만 넘어도 높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지만, 저는 최소 20 이상으로 기준을 두고 있는 편입니다. (물론 어떤 기업에 투자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미 돈을 꽤 벌고 있고 앞으로도 잘 벌 기업에 투자를 하겠다면 10보다는 높은 기준치를 두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3. PER (주가수익비율)
- PER은 'Price-to-Earnings Ratio'의 약자로, 주가를 EPS으로 나눈 값입니다. 현재 주식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시장가에 EPS를 나눈 값이고, EPS는 과거의 이익 또는 앞으로 벌어들일 이익으로 계산해서 개개인의 판단으로 싼지 비싼지 판단하여 투자를 집행하기 때문에 해당 기업에 대한 대중의 심리라고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이 사고자하는 기업의 주가가 5000원인데 시장에서 예측하고 있는 EPS는 500이고 PER은 10으로 시장에서 평가하고 있다고 해봅시다. 만약 A가 판단하기에 앞으로 이 기업의 이익은 더 많이 벌 것이라 판단하여 시장에서 예측한 EPS가 너무 저평가되었다면 투자를 집행해볼 수 있고, 이익은 시장의 기대와 비슷하게 낼 것으로 보이지만 PER이라는 대중심리 지표가 과거의 평가에 비해 너무 낮게 형성되어 있어 이익이 조금만 더 올라가면 시장의 반응이 뜨거워지면서 PER은 다시 더 높은 값을 형성(=사람들이 더 많이 사고싶어한다 정도로 이해하면 쉽겠습니다.)한다고 예측한다면 현재의 주가는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매수를 실행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이에 반대되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면 매수 판단을 보류하는 것이 맞겠죠?
처음부터 다짜고짜 재무/회계에 대한 이해도 없이 투자지표부터 언급했고, 저평가니 뭐니하는 이야기에 생각보다 정신이 없을 수 있을겁니다. 이미 유튜브나 수많은 블로그에 좋은 설명들은 다 나와있고, 얼마나 그것을 효율적으로 공부하고 받아들일지는 여러분의 판단에 맡기며 저는 일정수준의 기본 지식 외에 핵심적인 실전적 내용만 다루고자 하며 조금 불편한 부분들은 여러분들께서 직접 해소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위 내용은 김현준 대표님의 유튜브 영상에도 나와있겠지만, 찰리 티안의 '구루들의 투자법'이라는 책에 조금 더 자세한 내용들이 나와있으니 장기적 관점에서 주식투자, 특히 미국주식 투자에 관심이 많은 분들에게 적극 추천드립니다.
여러분들께서 관심가지고 있던 기업들이 과연 어떠한 EPS, PER, 그리고 ROE 값을 가지는지, 그리고 관련 산업에서 독보적인 1등, 경쟁자, 혹은 후발주자로 들어오고 있는 기업들의 지표는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도 같이 비교하면 체계적인 위험을 낮추면서 안전한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간중간에 계속 공부에 도움이 되는 유튜브 영상이나 참고하면 좋은 자료들, 그리고 책들을 알려드릴 것이므로 그걸 토대로 많은 공부를 이어나가셨으면 조금 더 빠른 시일 내에 효율적인 공부를 할 수 있을거라 나름대로 확신하고 있으니, 제대로 공부해보고자 한다면 열심히 잘 따라와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포스팅부터는 실제 기업의 주가향방, 그리고 저번에 강조드렸던 순이익에 초점을 두어 위 3가지 지표들을 복합적으로 사용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이 말은 즉슨 실제 주식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기업들 중에서 제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기업을 예시로 들 것잉며, 투자의 매수/매도 권고가 절대 아니니 항상 책임은 여러분들에게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시고 같이 공부하면 좋을거 같습니다.
미리 안내를 드리자면, 대한민국 미용기기(EBD, Energy-Based Device)의 패러다임을 바꾼 코스닥 내 대장주 클래시스를 예시로 들어 설명드릴 것입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애드센스 클릭은 주인장에게 큰 힘이 됩니다 :)
Learn
Together
Rich
Together.
'0. 실전 주식투자 이것부터 시작하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들보다 빠른 시점에 성장주에 투자를 해서 수익을 내고 싶다면, 산업 보고서와 수출 데이터 동향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Part 1. 원텍) (3) | 2025.04.20 |
---|---|
순이익성장률(=EPS성장률)은 주가 상승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3) | 2025.04.18 |
미용기기 대장주 클래시스, 얼마나 더 올라갈 수 있을까? (2) | 2025.04.17 |
리타민(Retamin) 투자 어플, 이렇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2) | 2025.04.17 |
주식 공부를 제대로 시작하고 싶다면, 증권사 레포트부터 시작하세요. (2) | 2025.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