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잃지않는 실전투자법/(3) 가치 평가 : Think DEEPerent<2>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여러분들은 어떻게 이해해서 사용하고 계십니까? (Part 3. 개별 기업의 PER은 어떻게 산출하는가)

by LTRT 2022. 9. 25.
반응형

Learn Together. Rich Together.

같이 공부 합시다. 같이 부자 됩시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의 피터 린치(가 되고자 하는)

의 해리포터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EPS X PER Valuation Part.3 '개별 기업의 PER은 어떻게 산출하는가'입니다.

 

그전에! 저번 시간에 길게 설명드렸던 PER 관련 내용을 꼭 한 번 다시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https://ltrt.co.kr/65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여러분들은 어떻게 이해해서 사용하고 계십니까? (Part 2. 한국

Learn Together. Rich Together. 같이 공부 합시다. 같이 부자 됩시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의 피터 린치(가 되고자 하는) 엘티알티의 해리포터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PER Part.2. '한국 시장과 미국

ltrt.co.kr

이번 시간에는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드릴 예정이며, 김태홍 대표님의 저서 '투자를 위한 투자'를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저만의 투자 도서 Top 10 포함되어 있는 책입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시작해볼까요?

본 내용에 들어가기에 앞서, 미리 말씀드립니다.

 

주식 투자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은 수 만 가지가 있으며, 그중 하나인 가치투자 중에서 EPS X PER Valuation(가치평가)을 여러분들에게 소개를 해드리는 것입니다.

 

이 방법 이외에도 가치평가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가장 이해하기 쉽고 대중들의 기대치를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PER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에 한 가지 방법만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이 제 사견입니다.

 

그리고 위의 책 내용과 같이, 대명제는 "밸류에이션은 이익 성장의 함수이다."이며, 향후 N 년 간 순이익 성장률(=EPS 성장률)이 시장수익률을 넘어서고N 년이라는 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시장의 평균 순이익 성장률(=EPS 성장률) 만큼의 성장은 보장이 될 수 있는 기업이라는 전제를 기억해주세요.

 

다시 요약해보겠습니다.

(1) 대명제는 "밸류에이션은 이익 성장의 함수"이다.

(2) 최소한의 상장된 시장의 순이익 성장률은 보장이 되는 기업이다.(순이익/매출/자산이 매년 증가하는 기업)

 

본격적으로 예시를 바탕으로 PER 산출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 이익이 매년 10% 성장하는 (가) 기업이 있고, 이익이 원래는 10%씩 벌다가 향후 5년 동안 30%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 기업이 있다고 합시다.

 

- 그리고 두 기업의 동일한 시가총액 1조, 2022년도 기준 순이익은 1000억을 벌어들이고 있는 기업이기에 현재 PER은 KOSPI와 동일한 10배의 수준입니다.

 

- 시가총액이 그대로 유지가 되고 있다 한다면, 과연 (가) 기업과 (나) 기업의 이론적 적정 PER은 얼마가 되어야 할까요?

 

(가) 기업의 경우, 사실 KOSPI의 역사적 PER가 거의 비슷하기에 시장 평균 성장률을 가져간다고 보시면 되며, 이와 같은 기업의 경우 10배라는 요구수익률(PER)을 주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디테일하게 들어가 보면, PER이 10배가 넘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이 내용은 따로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나) 기업의 경우, 아래의 표와 같은 PER과 성장률 값을 가지게 됩니다. (5년 뒤의 시총도 1조라 가정)

주식시장에서 평균적으로 10배의 PER이 적정(KOSPI 기준)하다고 시장에서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2022년도의 PER을 10배 받을 수 있다고 하면, 향후 5년 뒤인 2027년에는 순이익이 3.71배 성장하게 될 것입니다.

 

이 말은 즉슨, 주가는 이익이 성장할 기업의 미래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나) 기업 2022년의 이론상 적정 PER은 10 X (1.3)^5 = 10 X 3.71 = 37.1배가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성장을 현시점에서 미리 다 예상(기대)하고 있다면 현재 동사의 PER은 37.1배로 시장에서 거래가 되고 있을 것이며, 물론 이자율로 현가 할인을 해야 하지만 복잡하기도 하고 크지 않은 수치여서 무시하기로 했다.

- 투자를 위한 투자, 287p 내용 中 -

 

책에 기술되어 있는 대로, 저희도 똑같이 하면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장기적으로 몇 년 간 30%의 이익성장률을 가져올 수 있느냐와 그 이익 창출이 얼마나 안정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 기업으로부터 나오는지가 되겠습니다.

 

그렇기에 현재 4차 산업혁명을 바탕으로 전기차에 들어가는 이차전지 소재 중 국내가 전 세계적으로 강한 입지를 다지고 있는 양극재 기업(대표적인 기업으로 LG에너지솔루션, 에코프로비엠, 엘엔에프 등이 있습니다.)들은 지금 이 시점에도(2022.09.25) 아주 높은 PER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당.화.되면서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반드시 쓰여야 하고, 앞으로도 전기차 수요는 지속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가 깔려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제가 일전에 설명드렸듯이, 12MF EPS와 여러분들이 위와 같은 공부를 통해 판단한 PER로 얼마만큼의 Upside가 있는지는 스스로 계산하셔야 합니다.

 

아무리 태.조.이.방.원. 테마가 대한민국 2022년도 하반기를 휩쓸고 있다 한들, 내가 비싸게 샀으면 여러분의 투자수익률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태조이방원 : 드라마 제목을 패러디한 것으로, 태양광 - 조선업 - 이차전지 - 방산 - 원자재 섹터를 의미합니다.)

 

부디, 사례분석까지 완벽히 마스터하면서 '이와 같이 시장이 분위기가 좋을 때에는 이 정도까지의 PER 평가를 받았던 기업이구나'라는 것을 여러분들 스스로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간혹, 이런 질문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십니다.

 

제가 계산한 PER은 30배였는데, 시장에서는 50배 혹은 그 이상으로 평가받았을 때도 있는 거 같아요.

 

이에 대한 답은 2가지로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1) 장기적인 이익성장률이 확실히 된다고 시장에서 평가받는 경우, 이론적 PER이 30배로 계산되었다 한들 실제 시장에서는 더 높은 PER 배수를 받을 수'도' 있다. (대중들의 기대심리가 추가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2) 모멘텀, 혹은 시장에서의 '가격'밸류에이션을 넘어설 수 있다.(호황기 또는 강세장)

이 내용은 최일 CFA님께서 소개해주신 좋은 영상이 있어, 설명을 이로 대체하도록 하겠습니다.

 

<1> 왜 모멘텀이 밸류에이션을 우선 하나요? (짧은 영상) / 출처 : 최일 CFA 투자 아카이브 유튜브

https://youtu.be/aCdLSNEi8hM

<2> 모멘텀의 변화와 투자 (긴 영상) / 출처 : 최일 CFA 투자 아카이브 유튜브

https://youtu.be/emuDUX8927c

 

다음 시간에는 마지막으로, 실제 기업으로 Case Study, 그리고 과연 KOSPI 지수와 같은 똑같은 연평균 이익 성장률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PER을 더 높게 받거나, 아니면 더 낮게 받는 기업들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지 깊게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PER은 저도 마찬가지로 어려운 분야이고, 전문가분들도 어려워합니다.

 

하지만 과거의 사례를 바탕으로 싸게 사서 비싸게 파는 데에 있어서는 충분히 여러분 모두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원래 본 내용으로 마무리를 지으려 했으나, 내용이 길어져 다음 글을 마지막으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의 가치, 가격 상승 및 가격 하락에 대해서는 어떠한 내용도 확정적인 것이 없으며, 개인투자자의 사견이며 투자의 책임은 여러분들에게 있음을 절대 잊지 마세요. 스스로가 확신을 가지지 못한 기업은 언젠가 다시 팔게 될 것입니다. 

 

Learn Together. Rich Together.

같이 공부 합시다. 같이 부자 됩시다.

 

의 해리포터였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