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arn Together. Rich Together.
같이 공부 합시다. 같이 부자 됩시다.
안녕하세요~
대한민국의 피터 린치(가 되고자 하는)
엘티알티의 해리포터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바로! EPS 다음으로 이어지는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비율)입니다.
전문가들 또한 PER을 정확히 맞추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기업 내에서 과거의 자료, 그리고 시장지수의 PER/PBR 등을 통해 투자기업을 가치평가(Valuation)하는 데 있어 증권의 역사가 수익률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외람되지만 여기서부터, PER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던가 하는 기본적인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그래도 알려드리는 것은 맞으니, 유튜버 슈카 월드님께서 1분 컷으로 알려주시는 기본 개념 정도는 아래 영상을 통하여 되짚어보시기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shorts/CUTR6_ZJPRU

또한, 이미 현직에서 금융교육을 해주고 계신 분들에 의해 유튜브에 'PER'만 치더라도 친절히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는 것들은 너무나도 많으니 저는 실제 시장에서 사용되는 것들만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시작해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은 PER의 역수를 (해당 기업의, 혹은 지수의) 기대수익률이라고 알고 계실 겁니다.
예를 들어, 이론적으로 PER이 10이라는 것은 내가 투자한 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0년이라는 뜻이며 이에 대한 기대수익률은 100/10 = 10%니까요.
(이론적으로 PER이 5면 원금 회수까지 5년, 기대수익률은 100/5=20%이 되겠죠?)
이 말은 즉슨, 산업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으면서 저 PER주를 사면 무조건 벌 수 있다(?)라고 해석이 가능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증권시장의 역사가 증명합니다.
제가 한 말이 거짓인지 아닌지가 궁금하시다면, 강환국 작가님의 유튜브 채널을 보거나 저서 '거인의 포트폴리오'에서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본 책에서는 PER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지표들을 백테스팅한 결과물을 다룬 너무나도 좋은 도서라 감히 권해드립니다.)
거인의 포트폴리오 - 교보문고
월급을 쪼개서 경제적 자유를 만드는 23가지 전략 | 실패하는 것보다 성공하는 것이 더 쉬워진다! ‘세계 8대 기적’인 복리의 마법과 투자전략이 합쳐지면 누구나 경제적 자유에 이를 수 있다 30
www.kyobobook.co.kr
다시 돌아와 볼까요?
그렇다면 우리는 연평균 수익률을 20% 내기 위해서는 PER만 가지고 투자를 하고자 한다면,
무조건 PER 5 이하의 기업들만 사야 합니다. 이론적으로는요.
그러나 실제 시장은 그렇지 않습니다.
예로, 우리가 누구나 알고 있는 애플이라는 기업의 주가 차트 흐름과 PER 수치를 확인해볼까요?
정말 대~략적인 값으로만 보았을 때, 5년 동안 애플이라는 기업의 주가는 177.57 / 30.52 = 5.81배가 올랐습니다.
이는 연평균 수익률 약 42.2%에 해당되는 수치인 것이죠.
그렇다면 애플의 PER은 과거 당시 100 / 42.2 = 2.37 밖에 되지 않았을까요?
과거의 수치는 아무리 눈을 크게 떠봐도 2~3 근처의 값은 도저히 보이지 않으며, 후행적이고 해당 시점에서의 주가를 반영한 PER 값이라 한들 모두 16.74는 초과하는 수치로 나옵니다.
그리고 금일 최근에 형성되어있는 애플의 PER은 23.98, 약 24에 달합니다.
이를 깨닫거나 보게 된 많은 사람들은 아래와 같은 생각과 모습을 가지시게 겁니다. 저도 이랬거든요.
PER 역수는 기대수익률이라더니, 어쩌라는 거지? PER은 어떻게 적용해야 돼?
EPS X PER이 가치평가에 맞는 방법이긴 한 거야? 에라 추세 추종이나 해야겠다.
하지만 조금 더 깊게 나아가 본다면, 이론은 말 그대로의 것이며 실제 시장에서의 움직임은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고요?
PER은 말 그대로 Multiple, 대중의 심리가 반영되는 값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저는 이것을 기업의 이익 지표, 그리고 시장 지수의 PER을 바탕으로 설명해드릴 것입니다.
(그리고 다음 내용은 체슬리투자자문의 최일호 CFA님께서 매주 월요일 아침마다 풀어서 설명해주시는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드릴 것이오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체슬리투자자문의 유튜브 채널의 해당 내용을 공부해보시기 바랍니다.)
명심하세요. 이해되지 않는 것이 두려운 것은 누구나 다 그렇습니다. 배우고 제대로 이해한다면 누구나 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INI1aI9WhE&t=264s&ab_channel=%EC%83%81%EC%9C%A0%EC%8B%AD%EC%9D%B4TV

첫 번째 PER 관련 글은 이론과 실제 시장은 다르다는 것을 간단하게 보여드리는 것이며, 다음 글부터 본격적으로 나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그전에! 여러분들이 반드시 숙지하고 오셔야 되는 2가지 글이 있습니다.
전세계 애널리스트들이 가장 많이 보는 투자지표 2가지 (1편)
Learn Together. Rich Together. 같이 공부 합시다. 같이 부자 됩시다. 안녕하세요~ 엘티알티의 해리포터입니다★ 오늘 알아볼 내용은 바로! 전세계 애널리스트들이 가장 많이 보는 지표 2가지 - 1편 -입
ltrt.co.kr
전세계 애널리스트들이 가장 많이 보는 투자지표 2가지 (2편)
Learn Together. Rich Together. 같이 공부 합시다. 같이 부자 됩시다. 안녕하세요~ 엘티알티의 해리포터입니다★ 저번 내용에 이어서~ 오늘 알아볼 내용은 전 세계 애널리스트들이 두 번째로 많이 보는
ltrt.co.kr
아시는 분들은 아실 겁니다. 한참 전에 작성하였던 글인데, 과거나 지금이나 바뀐 것은 없으며 바뀌지 않을 겁니다.
전 세계 애널리스트들이 가장 많이 보는 투자지표 2가지와 주가 = EPS X PER가 과연 어떠한 연관성이 있을지 깊은 고민을 해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팁을 드리자면! 내용 중에 피터 린치의 명언을 인용한 내용이 있습니다. 그 내용을 곰곰이 생각해보고 오세요.
다음 분석글에서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식의 가치, 가격 상승 및 가격 하락에 대해서는 어떠한 내용도 확정적인 것이 없으며, 개인투자자의 사견이며 투자의 책임은 여러분들에게 있음을 절대 잊지 마세요. 스스로가 확신을 가지지 못한 기업은 언젠가 다시 팔게 될 것입니다.
Learn Together. Rich Together.
같이 공부 합시다. 같이 부자 됩시다.
엘티알티의 해리포터였습니다★

댓글